인스파이어 살롱 ‘구심점’은 얽을구, 마음심, 점점 : 마음이 점점 모이고 얽혀 서서히 예열되는 복합예열공간입니다. 2024년 <문화공간 기획 작업장>을 통해 제안된 이곳은 다양한 관심사를 가진 청(소)년이 머무르고 교류하며, 때때로 꿍꿍이를 모색하는 열린 공간으로 간단한 음료와 영감을 일으킬 수 있는 도구들이 준비되어 있어요.
📲 구심점 인스타그램 구경가기(팔로잉 환영) : https://www.instagram.com/gusimjum_/
<aside> 🛋️
구심점은 기다림의 공간입니다. 기다림이라는 가치는 우리,‘노른자(문화공간기획작업장 죽돌을 지칭하는 말로 하자에 노른자 땅을 찾는, 그러면서 하자에서 잘 놀아본 자들을 일컫는 말)’의 필요에서 비롯되었습니다. 고효용•고효율 지향의 시대, ‘갓생’이 미덕이 되는 시대에, 기다림의 시간은 무용한 것으로 취급되기 일쑤입니다. 또한 시간과 공간이 경제적 가치로 환원되기 십상인 이 사회에서 우리는 돈을 지불해야만 원하는 방식으로 점유할 장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 돈도, 뚜렷이 약속할 미래도 없는 우리는 어디에서 무용한 재미를 추구해야할까요? 우리의 답은 결국 ‘구심점’으로 모였습니다. 오븐의 온도가 서서히 올라 맛있는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상태가 되듯, 구심점에서 당신과 나의 온도는 서서히 오릅니다. 마침내 우리 안의 것들을 거리낌 없이 내뱉을 수 있도록 말이죠. 그리고 구심점은 그때까지 우리를 다정히 기다려줍니다. 그렇기에 우리는 이 공간을 ‘복합예열공간’이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. 구심점에서 우리는 우리에게 닥친 중요한 세상사를 논의할 수도, 비밀스러운 꿍꿍이를 계획할 수도 있습니다. 물론 아무것도 안해도 됩니다. 중요한 건 당신이 원하는 것을 하는 일입니다. 그저 이곳에서 수줍다가 괴롭다가 즐거워지세요. 앉듯이 눕고 눕듯이 앉아서, 무용한 시간을 보내세요.
2024년 11월 문화공간기획작업장 노른자 올림
공간기획 : 문화공간기획작업장 엉킨(최유라), 산번유(이다은), 방울토마토(김채령), 라라달라(김재헌), 도우(편유진), 릴리(김보성), 에스(정시윤), 소새(김서희), 숲(이수빈), 도시(이시은), 인우(정인우), 싱아(이주은), 진현(김진현), 규민(김규민), 도담(고채린), 몽(장예주), 누리(박은진), 모리(김수희), 구디(박수경)
공간기획 및 디자인 멘토 : 혜진(여혜진), 탕수육(김지원), 맙소사(김병국), , 봄밤(조현상), 지니(박문진), 선미(장선미)
공간 가구 디자인 및 제작 : 지지(이지홍_지지 아키텍츠 건축사무소)
</aside>
공간 이용 안내
공간에 준비되어 있는 것들
인스파이어살롱 '구심점' 전경입니다. 하자센터 본관 1층에 있어요.
<aside> 📸 이미지 1: 구심점 공간 전경
</aside>
차량용 시트를 재활용한 푹신한 소파가 있어요. 통풍, 온열기능도 있어요.
<aside> 📸 이미지 2: 쉴거리
</aside>
여러 높이의 의자와 2층 평상이 있어요. 나에게 맞는 자리를 찾아보세요.
<aside> 📸 이미지 3: 쉴거리
</aside>
누워 단잠을 청해봐도 좋아요. 두런두런 이야기 나누어도 좋고요.
<aside> 📸 이미지 4: 쉴거리
</aside>
각종 차와 핸드드립이 가능해요. 셀프로 이용하거나 구심점’점원’에서 요청해 보세요.
<aside> 📸 이미지 5: 마실거리(핸드드립, 커피믹스, 녹차, 자몽아이스티 등)
</aside>
타로카드와 가이드북이 있어요. 셀프로 또는 서로서로 고민을 풀어보세요.
<aside> 📸 이미지 6: 놀거리(타로카드)
</aside>
아이디어가 묶이지 않을땐 손을 움직일 필요가 있어요. 그럴땐 알알이 엮어 봅시다.
<aside> 📸 이미지 7: 놀거리(비즈 : 비즈팔찌 만들기)
</aside>
다양한 문화/예술 서적이 준비되어 있어요. 영감을 받아 보세요.
<aside> 📸 이미지 8: 읽을거리(구심점 책장)
</aside>
평화에 관한 그림책 큐레이션을 가지고 있어요.
<aside> 📸 이미지 9: 읽을거리(구심점 책장)
</aside>
물론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좋아요. 무용한 일도 잔뜩 합시다.
<aside> 📸 이미지 9: 그냥 찍어봤어요.
</aside>